"우리는 어떤 민족입니까? 배달의 민족."
이 유명한 문구로 시작한 <배달의 민족>은 음식 주문 및 배달 플랫폼입니다. 음식점 하나하나가 각자 배달 서비스를 진행했던 이전과 달리, 모바일 배달 플랫폼이 등장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식을 주문하게 되었습니다. 더 다양한 음식점들이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고, 사용자들은 보다 다채로워진 메뉴와 그 편리함에 만족했습니다. 글을 쓰고 있는 저 또한 배달의 민족 앱 서비스를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느꼈던 좋은 점과 아쉬운 점을 '배고플 때 찾는 <배달의 민족>'에서 정리해봤습니다. 오늘은 해당 포스트에서 아쉬운 점이라고 이야기했던 '(3)불편한 메뉴 구성'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지 '페이퍼 프로토타입'을 제작해보려고 합니다.
1. 문제 정의
배달의 민족에서 음식점을 '배달'시키려고 했을 때 선택할 수 있는 카테고리는 [배민1]과 [배달] 두 가지로 나뉩니다.
- [배민1]은 2021년 6월에 신규 도입된 서비스로 '한 번에 한 집만' 배달하는 서비스입니다. 배달의 민족에서 고용한 라이더가 직접 배달합니다.
- [배달]은 배달의 민족에서 제공하는 가장 기본적인 서비스입니다. 이 안에서도 한 화면에에 '오픈리스트'와 '울트라콜'로 나뉘어 애플리케이션에 노출됩니다. 주문을 받은 음식점에서 직접 배달을 가거나 배달 대행 업체를 사용해서 전달이 이뤄집니다. 따라서 음식 픽업 후 다른 배달 장소를 들리다가 우리집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즉, 한번에 여러 장소에 배달할 수 있습니다.
(배달의 민족에서 부르는 '배달'의 공식 명칭은 '배민'입니다. 하지만 애플리케이션 UI상에 나타나는 카테고리 명칭은 '배달'이므로 이 글에서는 '배달'이라고 적습니다.)
사용자 관점에서 문제 정의
배민 유저는
무엇을 먹을지, 어떤 음식점에서 주문할지 찾기 위해
배달의 민족 앱을 사용합니다 / 배달의 민족 앱의 검색 기능을 사용합니다
사용자가 배달의 민족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식을 '배달'시키는 상황이라고 가정합니다.
- 문제 상황1
: 사용자는 어떤 음식을 먹을지 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주문량이나 댓글이 많은 순으로 음식점 전체를 보고싶습니다.
하지만 배달의 민족 앱에 접속하자 배달 카테고리가 둘로 나뉘어 어디로 들어가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 문제 상황2
: 사용자는 어떤 음식을 먹을지, 어디서 시킬지 정했습니다. 따라서 검색창에 음식점 상호명을 검색합니다. 그런데 같은 음식점이 배민1, 배달로 나뉘어 있는 것을 확인합니다. 리뷰도 따로 접수되어있고 할인도 다르게 적용되었으며 배달팁도 다릅니다.
결국 공통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배달]과 [배민1]이 아예 다른 서비스로 나뉘어 노출된다는 것입니다.
2. 해결안 도출 및 프로토타입(Lo-fi)
배달의 민족 앱에는 동일한 음식점이 배민1, 배달로 카테고리가 나뉘어 등록되어있습니다. 같은 음식점이지만 속해있는 카테고리에 따라 할인율도, 배달팁도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는 두가지를 번갈아 비교해봐야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따라서 저는 이 흩어진 카테고리를 하나로 묶어 노출하는 UI를 제작해보기로 합니다.
하하... 어색하기 짝이 없는 Lo-fi입니다. 달라지는 부분은 하늘색 투명한 색상으로 표시했습니다. 사용자가 음식을 배달시킬 때 마주할 큼직한 화면을 순서대로 나열했습니다.
- 화면1
: 배달과 배민1 카테고리를 하나로 합쳐서 '배달' 버튼 하나로 노출합니다.
따라서 포장 카테고리는 이전에 배달 버튼이 있던 자리로 옮겨 나열된 카테고리 중 한 줄을 줄일 수 있습니다. - 화면2
: 큰 변화는 없습니다. 다만, 화면 상단에 일렬로 나열되어 작게 노출된 카테고리(배민1, 배달, 포장, 쇼핑라이브, 선물하기 등)중 배민1과 배달을 하나로 합칩니다. - 화면3
: 기존 배달 카테고리에서 음식점 목록을 노출하는 방법입니다. 파란색으로 표시해둔 부분은 본래 배달시간, 포장가능, 예약가능과 같은 정보를 태그로 노출하던 위치인데, 이곳에 배민1이라는 옵션을 추가로 보입니다. - 화면4
: 기존 배달 카테고리에서 음식점을 노출하는 방법입니다. 기존에 배달 주문, 포장/방문 주문을 선택해서 정보를 볼 수 있던 자리에 배민1 주문 정보를 추가합니다.
'📂 케이스 수집하기 > 프로덕트 수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스타그램>으로 앱 구동 원리 이해하기 (0) | 2022.06.15 |
---|---|
<비욘드> 랜딩페이지는 어떻게 구성되어있을까 (0) | 2022.06.10 |
UX 디자인의 대가, <토스> (0) | 2022.05.31 |
배고플 때 찾는 <배달의 민족> (0) | 2022.05.30 |
아이들 돌봄∙배움 앱 <자란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작성해보기 (1) | 2022.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