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의 업데이트
·
👩‍🌾 생각합니다/짧은 회고
01. 2024년 9월-11월, 노코드 툴로 직접 프로덕트를 만들다가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지 않고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프로젝트를 중단하고 방법을 Brunch에 공유했다.나로써는 중단한 프로젝트였지만, 문제를 해결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 좋은 경험으로 남았다. 프로젝트 중단 기록중단한 이유와 배운 점 | 생각보다 회고하는 건 품이 많이 든다. 계속 부담스러워 미루다 이제야 브런치에 지난 프로젝트를 정리한다. 중단한 이유 나는 생활 속에서 떠오르는 생각과 아이디어brunch.co.kr 아이폰 단축어와 노션 연동하는 방법간단한 메모 루틴 만들기 | 기능 소개: 무엇이 좋아요? 작은 인사이트, 배움 하나하나 기억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 만들었어요. 언제 어디서든 아이폰 단축어를 활용..
9월의 계획
·
👩‍🌾 생각합니다/짧은 회고
01. 기록을 위한 툴이번달, 9월 3일 브런치(Brunch)에 작가가 되었다. 아마 티스토리 링크를 첨부한게 도움이 되었을 거라 예상한다.앞으로 일주일 간격으로 배운 내용의 요점을 정리해서 내 언어로 바꿔 말하는 건 brunch(https://brunch.co.kr/@yuuun)하루 짧게, 타인의 지식을 빌려서 정리하는 건 노션과 이곳, 티스토리가 된다. 02. 진행 중(이었던 것) 이번달 노코드 툴로 빠르게 메모할 수 있는 서비스를 하나 만드려고 했는데, 시장 조사를 하던 중에 내가 원하는 기능을 노션과 단축어를 연동해서 쉽게 만들 수 있다는 걸 알게 됐다. 일주일만에 프로젝트는 중단하게 되었지만 flutterflow의 기본적인 기능을 훑어볼 수 있었던 것, 노션으로 직접 프로젝트 관리 페이지를 만들..
듀오링고는 어떻게 리텐션(재방문율)을 높일까, "게이미피케이션" 요소 알기
·
📂 케이스 수집하기/프로덕트 수집
이 블로그에서는 IT프로덕트를 다양한 측면에서 공부하며, 알게된 내용을 글로 공유하고 있습니다. 01. 듀오링고는 어떤 서비스인가 듀오링고(Duolingo)는 언어 학습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이다. 웹/앱 모두 지원하며 앱에서 활용도가 더 높은 편이다. 지난해 스페인 여행을 다녀와서 스페인어 학습을 위해 듀오링고를 시작했고, 잘 만들어진 서비스라는 생각이 들어 수익구조를 분석했다. 듀오링고는 2012년에 서비스를 론칭하고 2021년에 나스닥 미국 주식 시장에 상장되었을 정도로 언어 학습 서비스 치고 규모가 큰 편이다. 공식 문서에 따르면, 2023년 수익은 전년 대비 44% 증가했고, 일일 활성 사용자(DAU)는 62%, 월간 활성 사용자(MAU)는 50% 상승했다. 올해도 좋은 성적을 내고 있는 것으로 ..
24.01.24 인상깊은 글 및 영상
·
📂 케이스 수집하기/기타 수집
1. 요즘IT 기고글, 커뮤니티 서비스 만들지 마세요. 어차피 실패합니다. 상당히 자극적인 제목의 글. 커뮤니티 서비스는 제로섬게임이기 때문에 대형 커뮤니티 서비스를 이길 수 있는 가에 대한 의문을 가져봐야한다는 것. 커뮤니티를 만들고자 한다면 다른 어떤 목적으로 시작하기 보다 커뮤니티 자체로 먼저 사람이 모여야 사람들이 직접 글을 쓸 거다. 커뮤니티를 어렵게 안착시키더라도 이후 확실한 수익모델을 만들 수 있을 지에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2422/ 커뮤니티 서비스 만들지 마세요, 어차피 실패합니다 | 요즘IT 커뮤니티 전성시대라 할 정도로 업종과 분야를 막론하고 다양한 커뮤니티가 등장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성공한 커뮤니티의 법칙..
24.01.16 인상깊은 글 및 영상
·
📂 케이스 수집하기/기타 수집
독서 (~49p) 1. UX/UI 디자인에는 대체로 5가지를 말한다. - IA, 이용흐름, 인터랙션, UI, GUI 2. UX에서 말하는 User, 사용자에는 3가지 관점이 결합되어있다. - 사용자 개인 < 사회인 < 사람 3. UX에는 시간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과거: (경험) 지식, 기억, 습관, 수행 역량, 선호도 - 현재: (맥락) - 미래: (기대) '이런 기능이 있었으면 좋겠다' 4. 사람들이 원하는 정보는 하나일 때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다. 5. UX는 항상 분명한 목적에 의해서 시작되지 않는다. - 1단계 ~ 5단계
24.01.11 인상깊은 글 및 영상
·
📂 케이스 수집하기/기타 수집
아마존PM이 말하는 Product Requirements Document - what: PRD는 무엇인가 / why: 왜 필요한가 / who: 누구가 읽는가 / when: 언제 작성하는가 / how: 어떻게 작성하는가 - PRD는 팀의 목표를 얼라인시키기 위해 작성. - 작성시 다음 내용을 포함 Objective: Why you're proposing the product / Requirments / Assumptions / Dependencies - Requirments 요구사항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 Who: End user(자세히) / What&How: 유저의 행동과 그에 따른 프로덕트의 반응 / When: 어떤 상황에 프로덕트가 어떻게 반응하는가(ex. 소비자로서, 나는 확인 알림을 받는다, 구..
24.01.04 오늘의 인상깊은 글 및 영상
·
📂 케이스 수집하기/기타 수집
1. Thumb Zone이란 무엇인가 - 최근 핸드폰을 바꾸면서 thumb zone에 대한 고민이 더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애플의 사파리 브라우저에서 검색창을 아래로 내린 것도 같은 맥락. 아래 글은 Thumb zone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을 하고 있다. https://philwijs.medium.com/mobile-app-design-keeping-the-thumb-zone-in-mind-c1d4fafcd127 Mobile App Design: Keeping the Thumb Zone in Mind As the years go by, companies like Samsung and Apple keep touting that they have the largest mobile screen in t..
와이즈앱에서 말하는 2023년,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앱
·
📂 케이스 수집하기/기타 수집
https://www.wiseapp.co.kr/insight/detail/488 2023년 한 해 동안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모바일 앱은? 23년 한 해 동안 한국인이 가장 많이, 자주, 오래 사용한 앱은 무엇일까요? 자세한 내용은 와이즈앱 인사이트에서 확인하세요! www.wiseapp.co.kr 이 글을 보고 재밌는 흥미로운 지점이 있어서 기록해두려고 한다. 1. 네이버 밴드의 월 평균 사용자 수가 1,986만명으로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앱 순위에서 8위를 차지했다. 4-50대의 이용자 수가 많다는 건 알았지만 생각보다도 높았다. 이 결과를 보고 네이버 밴드를 검색해보니, 해외 시장에서 통했다는 기사를 발견했다. 네이버 밴드, 미국·일본서 통했다…"10년 도전 결실" 2. 한 해 동안 가장 ..
오픈서베이, '경험의 시대: 소비자가 시간을 보내는 법'
·
📂 케이스 수집하기/기타 수집
https://blog.opensurvey.co.kr/trendreport/travel-2023/ 여행 트렌드 리포트 2023 - 오픈서베이 블로그 여행 트렌드 리포트 2023은 전국 만 20~59세 소비자의 전반적인 여행 경험 세부 행태를 담고 있습니다. 국내 및 해외여행의 계획 방법부터 숙소·액티비티 이용 경험, 쇼핑 행태 등을 자세히 살펴볼 blog.opensurvey.co.kr 최근 오픈서베이의 2023 Play 웨비나를 들었다. 인상깊었던 몇가지만 기록해보자면, 1. 2022년 12월에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조사한 내용에 따르면 대한민국 국민이 지난 1년간 가장 많이 만족한 여가 활동은 '산책 및 걷기'이다. 2. 구글 트렌드에서 분석된 결과에 따르면 '오마카세'의 검색량 트랜드가 2023년 어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