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짐(多Gym)의 공식 소개문
운동할 땐, 다짐부터! 헬스장, PT, 요가, 필라테스, 크로스핏 등 50개 종목의 체육시설 가격, 다짐(多Gym)에서 알아보세요!
주요 기능
- 운동 센터 가격 확인하기
- 통합회원권 판매 (최대 3곳)
: 통합회원권이란, 내가 최대 세가지 운동 시설을 골라 하나의 회원권으로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다.
예를들어 내 직장은 여의도 그리고 집은 분당인 경우에 여의도에 헬스장 하나, 분당에 헬스장 하나를 통합 결제해서 사용할 수 있다. 확인해본 결과, 기존 회원권보다 1~3만원을 추가한 합리적인 가격으로 통합회원권을 구매할 수 있다.
성장
- 2017년 7월 18일, 다짐 정식 출시
- 2020년 7월 22일, 다짐 프리시리즈A 투자 유치
- 2021년 9월, 체육시설 가격표시제 의무화 연기됨
- 2021년 11월 5일, 다짐 32억원 시리즈A 투자유치
- 2021년 12월 27일, 공정거래위원회 체육시설 가격표시제 의무화
다짐은 어떤 사람들이 사용할까?
다짐은 여러 지역에서 또는 다양한 종류의 운동을 하고 싶은데 비용이 부담되는 사람들을 위한 통합회원권이라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앱 진입 플로우 살펴보기
- 스플래시 스크린
- 앱 접근 권한
- 안내
- 위치 액세스
- 온보딩 페이지
- 건너뛰기 / 시작하기
*특징: 앱 진입시 바로 회원가입 페이지가 나오지 않는다.
다짐에서 회원가입은 언제할까?
- 구매페이지
- 운동시설 → 회원권 선택 → 가격 더보기 → 다짐 회원권 만들기 → 장바구니 → 000원 바로 결제 → 로그인 페이지
- 트레이너 → P.T 결제하기 → 바로결제 → 로그인 페이지
- 다짐마켓 → 로그인
- 다짐마켓 → 상품 선택 → 장바구니 담기 → 장바구니 → 000원 결제하기 → 로그인 페이지
- 다짐마켓 → 상품 선택 → 구매하기 → 옵션선택 → 바로 구매하기 → 로그인 페이지
*다짐마켓은 아직 gnb에 없다
⇒ 그러니까, 회원가입 없이 바로 앱을 둘러볼 수 있다. 하지만 앱을 활용(결제)하려면 로그인이 필수다.
- 마이페이지
- 로그인이 필요해요
- 회원권 / 결제내역 / 상담톡 / 리뷰관리
- 로그인 / 회원가입
다짐 회원가입 플로우
- 방법 1. 간편 회원가입: 페이스북(오류) /카카오톡 / 네이버
방법 2. 이메일 회원가입 - 이메일로 회원가입시 절차 및 필요한 정보
(1) 아이디로 사용할 이메일과 비밀번호를 설정해주세요.
(2)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신 후 인증해주세요.
(3) 한글, 영문, 숫자 포함 20자 내외의 닉네임을 설정해주세요.
좋은 점
1. 손쉬운 회원가입
- 처음부터 회원가입을 강요하지 않는다.
- 다양한 간편 회원가입 루트를 제공한다.
- 회원가입시 너무 많은 정보를 요구하지 않는다. (이메일(검증x)/비밀번호/전화번호/닉네임)
- 하단 게이지로 진행률을 보여주고 있다.
2. 다짐이 제공하는 솔루션, 통합회원권
아쉬운 점
- 사용성에 대한 아쉬움:
1. 오류가 있다.
(때때로 뒤로가기 안됨, 로딩 느림, 버튼은 보이지만 비어있는 기능이 있음, 페이스북 로그인 안됨 등)
2. 로그아웃 위치가 익숙하지 않다. - 체육시설이 한정적이다.
그외 특징
- 게이지 파란색 / 커서 노란색 / 입력란(미완료시) 빨간색으로 세가지 색상을 다 쓰고있다.
- 전화번호 - 없이 입력하라고 했지만 넣어도 인식한다.
- 전화번호를 자동완성으로 넣으면(+8210~~) 인식 못한다. 여기서 "잘못 입력했습니다."가 아니라 "네트워크 불안정하다."는 팝업창 뜬다.
내가 다짐의 기획자라면 회원가입 플로우를 어떻게 만들까
- 회원가입시 되돌아가기를 가능하게 만든다.
회원가입시 사용자 입장에서 가장 불편한건 직접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다. 회원가입 진행시 되돌아가기 기능이 되지 않아 처음부터 정보를 입력해야한다면, 사용자는 이탈할 확률이 높아진다. - QR코드 간편 출석 기능을 홈화면, 눈에 띄는 자리에 배치한다.
다짐 서비스의 주요 기능을 두가지 꼽자면, 문의하지 않고도 동네 체육시설 가격이 확인 가능한 것 그리고 통합회원권 판매이다. 21년 이후 가격표시제 의무화가 되면서 체육시설 가격을 점점 홈페이지에 직접 공시하게 되면 다짐은 강점을 하나 잃게 된다. 그렇다면 다짐의 차별적인 강점은 다짐 서비스 내에서 결제가 이뤄지는 ‘통합회원권’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나는 통합회원권을 다짐에서 판매하고 있다는 걸 강조하기 위해 통합회원권 QR코드를 앱 진입시 첫 페이지에 보여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통합회원권을 구매하면 시설에서 QR코드를 찍고 입장해야한다. 다짐 홈화면에 바로 qr코드 버튼을 보여주면 신규유저도 qr코드를 어디에 쓰는건지 궁금해지고, 자연스럽게 통합회원권을 강조할 수 있을 것이다. 통합회원권을 사용하는 사람들도 ‘앱 실행→마이페이지→qr코드’ 로 안들어가고 뎁스를 줄일 수 있다. - 상품 검색 기능을 강화시킨다.
다짐은 결국 이커머스 플랫폼이다. 이커머스에서 가장 중요한건 상품 라인업이고 다음으로 중요한건 원활한 결제고 그 다음 중요한 건 상품 검색 기능이지 않을까? 그러니까 상품 검색 기능을 강화시켰을 것이다. 예를 들어 트레이너 페이지에서는 선생님별 강점 필터나 성별 필터를 만들고, 운동시설 페이지에서는 헬스장인지, 요가센터인지, 크로스핏 짐인지 구분할 수 있는 필터를 넣을 것이다.
추가) 왜 앱 진입시 바로 로그인하는 페이지를 만들지 않았을까?
다짐이 이커머스 플랫폼이기 때문이다. 이커머스에서 결국 이뤄져야 하는 것은 구매다. 무엇을 판매하는 지 보여주고, 구매 단계 직전에 로그인을 하게 되면 얻게되는 장점을 어필하고 회원가입을 유도할 수 있다.
'📂 01 > 프로덕트 수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팡이츠(Coupang eats) 리뷰 기능 살펴보기 (0) | 2023.02.05 |
---|---|
유튜브(YouTube) 댓글 기능 살펴보기 (0) | 2023.01.30 |
제페토(ZEPETO) 2탄: 온보딩 구성 살펴보기 (0) | 2023.01.10 |
은행 점검 시간의 불편함을 해결한 <카카오톡> (0) | 2022.12.26 |
<리틀 피카소> 서비스 알아보기 (0) | 2022.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