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모바일 앱의 네가지 형태와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 이런 순서로 글이 진행될 거예요.
1. 모바일 웹(Mobile Web)의 장단점
2. 네이티브 앱(Native App)의 장단점
3. 웹 앱(Web App)의 장단점
4. 하이브리드 앱(Hybrid App)의 장단점
모바일 웹 (Mobile Web)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하기 편한 방식으로 개발된 웹 페이지 기반 서비스를 의미한다.
URL을 통해 접속한다.
장점
- 사용자가 따로 앱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접근성이 좋다.
- 모바일 기기 성능이나 운영체제와 상관없이 모든 사용자에 동일한 경험을 제공한다.
- 사이트를 업데이트 하기 편하다.
- 웹 언어(HTML, CSS, JS, PHP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개발 및 유지보수 비용이 낮다.
단점
- 화면 전체를 서버에서 받아 화면을 갱신하는 풀 브라우징 방식이기 때문에 네이티브 앱 보다 접속 속도가 느리다.
-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서버 접속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 기기의 내장된 기능(카메라, GPS 등)에 접근이 어렵다.
- 앱 서비스에 비해 구현할 수 있는 기능에 제약이 있다.
네이티브 앱 (Native App)
안드로이드와 iOS에서 제공하는 SDK를 사용해서 개발한다.
앱스토어나 구글플레이스토어와 같은 앱 마켓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장점
- 기기의 내장된 기능에 접근이 가능하다.
- 사용자 측에 어느 정도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웹에 비해 접속 속도가 빠르다.
- 제공하고자 하는 사용자 경험에 가장 가깝게 구현할 수 있다.
단점
- 개발 및 유지보수 비용이 높다.
- 사용자 기기의 저장공간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운로드' 장벽이 높을 수 있다.
- 다양한 기기의 성능과 환경을 고려해야한다.
웹 앱 (Web App)
웹인데 앱처럼.
모바일 웹과 동일하게 URL을 통해 접속하지만 앱처럼 화면을 보인다.
Gmail을 예시로 들 수 있다.
장점
- 모바일 웹과 마찬가지로 유지 보수 및 업데이트에 용이하다.
- 모바일 웹과 마찬가지로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 모바일 웹에 비해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려는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 더 높은 사용성을 가진다.
단점
- 모바일 웹의 단점과 동일하다
- 모바일 웹에 비해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려는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비교적 구현이 어렵다.
하이브리드 앱 (Hybrid App)
앱인데 웹처럼.
네이티브 앱과 동일하게 앱 마켓에서 서비스를 다운받지만 앱을 구동시키면 특정 웹페이지를 불러온다.
Notion을 예시로 들 수 있다.
장점
- 앱의 형태를 띄고 있으나 네이티브 앱보다 개발 비용이 낮다.
- 모바일 웹과 마찬가지로 유지 보수 및 업데이트에 용이하다.
- 네이티브 앱과 마찬가지로 기기의 내장된 기능에 접근할 수 있다.
단점
- 모바일 웹과 마찬가지로 인터넷 통신에 상태에 따라 접속 장애가 생길 수 있다.
- 웹 기반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네이티브 앱에 비해 구현할 수 있는 기능에 한계가 있다.
+ 후에 다음 내용을 보충합니다.
PM으로서 어떤 상황에 어떤 형태로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이 효율적일지 고민해본다.
참고
https://binarapps.com/mobile-app-vs-mobile-website-comparison-pros-and-cons/
https://uracle.blog/2020/11/09/native_vs_web_vs_hybrid/
'📂 01 > 프로덕트 수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톡 멀티프로필>이 업데이트 된다면? (0) | 2022.06.29 |
---|---|
카카오 로그인 오픈API를 살펴보자 (0) | 2022.06.26 |
<서핏> 홈 피드를 분석해보자 (0) | 2022.06.22 |
<알라미>를 린-분석 해보자 (0) | 2022.06.17 |
<인스타그램>으로 앱 구동 원리 이해하기 (0) | 2022.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