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썸하트> 시장 분석 및 전략 세워보기
<투썸하트>는 어떤 서비스일까
<투썸하트>는 CJ그룹의 디저트 카페 프렌차이즈 전문점, '투썸플레이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입니다. 이를 통해서 고객들은 키오스크나 별도의 오프라인 주문 과정을 거칠 필요없이 주문을 할 수 있습니다. 핵심 기능인 '투썸오더'를 사용해서 메뉴를 주문하고 제조가 완료되면, 고객이 직접 픽업하는 형식입니다. 이외에도 투썸하트를 사용하는 고객들은 앱에서 투썸플레이스에서 진행하는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고, 음료 하나당 하트를 하나 적립하는 멤버십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투썸플레이스를 자주 이용하는 고객입장에서는 투썸플레이스에서 진행하는 프로모션을 한 눈에 볼 수 있어 편리하고
투썸플레이스에서는 앱의 알림을 활용해 그 존재를 리마인드 시키고, 멤버십 기능을 통해 더 많은 고정 고객을 확보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투썸하트>의 시장 트렌드
코로나19 발생 이후, '비대면', '언택트'라는 키워드가 부상했습니다. 투썸하트 또한 직접 직원을 대면하지 않아도 주문을 할 수 있는 모바일 주문 서비스 '투썸오더' 기능을 통해 사람간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기다림을 줄일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매일일보의 한 기사에 따르면, 비대면 주문 트렌드에 힘입어 지난 한달간 투썸하트 앱의 투썸오더 주문건수는 전년대비 약 1209% 성장했다고 합니다(링크). 코로나 이후 사람들 사이에서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선호가 증가했고, 이는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서비스가 옮겨가는 변화를 가속했습니다. 투썸하트 또한 내 손안에서 오프라인 주문을 대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고, 투썸플레이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투썸하트>을 위한 전략 아이디어 생각해보기 위한 현 상황 파악
전략 아이디어를 생각하기에 앞서 투썸하트는 어떤 역할을 하고 있을까요?
투썸하트는 결국 투썸플레이스의 수익 증가를 위하며, 오프라인에서 고객이 경험하는 비효율적인 절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공되는 온라인 서비스입니다.
투썸하트가 고객에게 제공하는 주요기능 네가지
1. 투썸오더
2. 홀케이크 예약
3. 멤버십 적립
4. 선물하기
첫번째, 투썸오더는 고객이 있는 자리에서 휴대폰으로 직접 주문하고 제작이 완료되면 픽업함으로써 기다림을 최소화합니다. 또한 대면으로 주문할 때 오랫동안 메뉴를 고르기 어렵다거나 직원과의 대화가 부담스러운 불편한 경험을 해결합니다.
두번째, 홀케이크 예약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오프라인으로 매장에 방문했을 때, 원하는 케이크가 없는 예기치 못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세번째, 멤버십 적립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투썸플레이스에 더 많이 방문할 때 그에 따른 향상된 혜택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종이 쿠폰에 스탬프를 찍는다거나, 번호를 입력해서 금액을 적립하는 방식과 달리 앱을 사용해 현재 적립한 상황 및 내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즉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번째, 선물하기를 통해 내가 원하는 상대에게 쿠폰을 보낼 수 있습니다. 직접 선물을 건내지 않아도 온라인으로 발송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보았을 때 <투썸하트>에서 해결하고 있는 오프라인의 절차는 대체로 '주문'에 관합니다. 투썸플레이스의 수익 증가를 위해서는 더 많은 주문이 생겨야하기 때문에 당연하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주문을 위해서는 더 많은 고객이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고객은 어떤 이유로 투썸플레이스를 방문할까요?
<투썸하트>를 위한 전략 아이디어 생각해보기
지금까지의 내용을 정리하면, 투썸하트는 투썸플레이스의 고객확보를 위해 오프라인 절차에서 고객이 느끼는 불편함을 해결합니다.
투썸플레이스에서 추구하는 미션과 비전, 그리고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 눈에 띄는 것은 투썸플레이스의 미션, '최고의 제품'과 '공간 경험'으로 고객의 '행복한 일상'을 만드는 것이며 커피문화 산업에서 '국내' 1위가 목표라는 것입니다.
아쉬운 점
개인적으로 오늘 글을 작성하면서 아쉬웠던 건 지금의 저는 해당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코스트를 계산하지 못한다는 점이었습니다. 생각한 기능이 가져올 이득과 실을 합했을 때 과연 이득이 더 클 것인가에 대한 감을 잡기 위한 더 많은 경험과 고민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