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케이스 수집하기/프로덕트 수집

<리틀 피카소> 서비스 알아보기

yuuuuuun 2022. 12. 22. 20:47

1. 리틀 피카소 홈페이지 살펴보기

엄마와 선생님이 함께 쓰는
우리집 아티스트 그림 보관함, 리틀피카소
  • 한번의 스캔으로 보관
  • 쉽게 다시 찾아보고 추억하기
  • 실시간으로 가족들과 공유하기

 

2. <리틀 피카소>의 강점

<리틀 피카소> 온보딩 캡쳐

1. 처음 앱 진입 시, 사용법을 바로 인지할 수 있는 직관적인 플로우.
"아티스트(아이) 등록 → 아트워크(작품) 등록 → 홈 진입" 플로우를 통해 주요 기능(그림을 보관하는 기능)을 첫 진입시 바로 익힐 수 있다.

2. 서비스 정체성을 강화하는 호칭, "아티스트".
 그림을 그리는 주체를 "아티스트" 라고 표현해 창작 활동을 단순한 낙서가 아니라 가치 있는 작품으로 존중하는 서비스의 철학을 반영한다. 또, 리틀 피카소는 우리 아이를 위한 서비스로 자녀가 있는 부모를 타겟으로 하고있다. 하지만 "아티스트"라는 호칭은 사용자를 아이로 한정짓지 않고 부모, 학생 등 확장할 수 있다. 

3. 사용자 경험 강화 요소
- 리틀 피카소에는 아이의 목소리로 그림 설명을 녹음할 수 있어, 부모가 작품에 담긴 의미와 아이의 창의적인 생각을 더 깊이 기록하고 추억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이 있다. 이 기능은 단순한 기록을 넘어 감성적인 추억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런 요소는 일반적인 클라우드 저장 서비스와는 차별되는 기능으로 리틀 피카소를 사용해야하는 차별점이 될 수 있다.
- 홈화면에서 작품이 벽에 진열된 듯한 UI를 제공하여, 한눈에 그림을 감상할 수 있고, 수집 욕구를 자극해 자연스럽게 더 많은 작품을 기록하도록 유도한다. 이런 기능을 통해 사용자 참여를 증가시키고, 단순히 이미지 저장이 아니라 창작물을 전시하는 '갤러리' 같은 느낌을 주어 서비스 정체성과 차별성을 부각할 수 있다.
+ 기능을 보충한다면?
(예시) 좌우 스크롤 기능
(예시) 사진을 클릭했을 때 원본(정보를 볼 수 있게)으로 이동
- 자동 제목 생성 기능. 사용자가 별도로 입력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그림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림 저장 과정을 더욱 원할하게 만들어 사용자 경험을 강화시킨다.

3. <리틀 피카소>의 아쉬운 점

홈화면 캡쳐본

1. 서비스의 핵심 컨셉이 명확해 보이지 않는다. 사용자가 앱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혼란을 느낄 가능성이 있다.
  - 내 첫인상: 내가 직접 아이의 그림을 기록할 수 있을 것이다.
  - 앱 내 인상: 미술학원과 연동해서 사용하는 서비스다.

2. 기능적으로 부족한 점이 많아, 아직 완성도가 낮은 서비스처럼 보일 수 있다.
- 스캔 기능, 작품 감상 경험 등 미흡한 기능이 있다.

4. 구독정책 또는 BM(Business Model)

현재 비즈니스 모델
(1) 폴더 생성 및 가족 초대 기능을 제공하는 구독 서비스
(2) 그림을 이용한 상품 판매

확장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아이디어
(1) AI 기반 그림 분석 기능 (프리미엄 기능)
- 아이 그림 스타일 및 특징 분석 (예: 색체 활용성, 창의성, 세부 묘사력 등)
- 비슷한 연령대의 아이들과 비교하여 개별적 특성 제공 (단, 줄 세우기 목적이 아닌 개인의 강점 분석)
- 장기적인 성장 패턴 분석 → "지난 1년간 색감이 풍부해졌어요!", "세부 표현력이 늘었어요!"같은 피드백 제공
(2) 그림 심리 상담 서비스 연계 (유료)
- 아이의 그림을 기반으로 전문가가 심리적 상태나 성향을 분석하여 피드백 제공
- 부모가 아이의 창작물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3) 굿즈 제작 서비스 확대 (유료)
- 서비스를 이탈하는 과정에서 기존 그림을 포토북으로 만드는 서비스와 연계
- AI를 활용해 그림을 애니메이션화하거나 3D프린팅해서 조형물로 변환하는 서비스 추가

비즈니스 모델 확장시 기대효과
(1) 단순한 그림 저장 서비스에서 아이의 창의력을 분석하고 성장과정을 기록하는 서비스로 포지셔닝이 가능하다.
(2) 클라우드 서비스와 차별화된 부가가치를 제공한다.
(3) 장기적인 사용자 유지율(리텐션)이 상승한다.

 

내가 리틀피카소의 기획자라면

일반 클라우드 서비스와 차별화된 기능 추가 및 사용성 개선을 우선시한다.

1. 단순 저장이 아닌 그림을 효과적으로 보관하고 감상할 수 있는 UX 개선
(1) 작품 관리 기능 개선
- 좋아요 표시 기능 추가 → 선호하는 그림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2) 검색 및 필터 기능 추가
- 연령별, 아이별, 연도별 필터 기능 → 원하는 작품을 빠르게 찾아볼 수 있도록
- 태그 기능 도입 → 예: “동물”, “가족”, “학교에서 그림” 등으로 자동 분류
(3) 작품 감상 방식 개선
- 폴더 내 좌우 넘김 제스처 추가 → 직관적인 탐색 경험 제공
- 두 번 탭하면 좋아요 기능 추가 → 빠르게 선호하는 작품을 표시 가능


2. AI 분석, 그림 성장 기록, 공유 기능 등 부가 서비스 추가( 장기적인 사용자 유지 전략 )

(1) 아이의 성장 기록 서비스로 확장
- 미취학 아동부터 초등학생까지 꾸준히 그림을 기록할 수 있도록 연령별 저장 기능 제공
- 시간이 지나면서 아이의 그림 스타일 변화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기능 추가

(2) 구독 해지 후에도 가치 제공
- 업로드 기간이 특정 이상 공백이 생겼을 때, 좋아요한 작품을 기반으로 앨범을 제작 및 구매 유도
- 기존 데이터를 포토북, 캔버스, 굿즈 등으로 변환하는 서비스 제공

그림 등록 화면 캡쳐
아쉬운점 보완

  • 누구의 그림이 어떤 폴더에 있는지 표시, 좋아요한 작품 표시
  • 필터 기능 추가: 누구의 / 몇 세의 그림을 볼건지
  • 폴더 내에 작품 좌우로 넘기는 제스처 추가 (아래 사진)

폴더 내에 작품 좌우로 넘기는 제스처 추가